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

 

C++에 있는 큐를 이용해서 풀이를 진행했다.

#include<iostream>
#include<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iLoop = 0;
    int iInput = 0;
    queue<int> queueData;
    
    cin>>iLoop;
    for( int i = 0 ; i < iLoop; ++i ){
        string strInput;
        cin>>strInput;
        if ( strInput == "push"){
            cin>>iInput;
            queueData.push(iInput);
        }
        else if ( strInput == "pop"){
            if (queueData.empty()){
                cout<<-1<<'\n';
            }
            else{
                cout<<queueData.front()<<'\n';
                queueData.pop();
            }
            
        }
        else if ( strInput == "size"){
            cout<<queueData.size()<<'\n';
        }
        else if ( strInput == "empty"){
            if ( queueData.empty() ){
                cout<<1<<'\n';
            }
            else{
                cout<<0<<'\n';
            }
        }
        else if ( strInput == "front"){
            if ( queueData.empty() ){
                cout<<-1<<'\n';
            }
            else{
                cout<<queueData.front()<<'\n';
            }
            
        }
        else if ( strInput == "back"){
            if ( queueData.empty() ){
                cout<<-1<<'\n';
            }
            else{
                cout<<queueData.back()<<'\n';
            }
        }
        
        
        
    }
    
    return 0;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개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0866/C++] Deque 덱  (0) 2022.12.23
[백준/9012/C++] 괄호  (0) 2022.12.22
[백준/9093/C++] 단어뒤집기  (0) 2022.12.21
[백준/10773번/C++] 제로  (0) 2022.12.20
[백준/10828번/C++] 스택  (0) 2022.12.19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

  • 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 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 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풀이

C++에서 제공해주고 있는 Deque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이하였다.

 

#include<iostream>
#include<deq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iLoop = 0;
    int iInput = 0;
    deque<int> dequeData;
    
    cin>>iLoop;
    cin.ignore();
    for ( int i = 0 ; i < iLoop; ++i ){
        string strInput;
        cin>>strInput;
        
        if ( strInput == "push_front"){
            cin>>iInput;
            dequeData.push_front(iInput);
        }
        else if ( strInput == "push_back"){
            cin>>iInput;
            dequeData.push_back(iInput);
        }
        else if ( strInput == "pop_front"){
            if (dequeData.empty()){
                cout<<-1<<'\n';
            }
            else{
                cout<<dequeData.front()<<'\n';
                dequeData.pop_front();
            }
            
        }
        else if ( strInput == "pop_back"){
            if (dequeData.empty()){
                cout<<-1<<'\n';
            }
            else{
                cout<<dequeData.back()<<'\n';
                dequeData.pop_back();
            }
        }
        else if ( strInput == "size"){
            cout<<dequeData.size()<<'\n';
        }
        else if ( strInput == "empty"){
            cout<<dequeData.empty()<<'\n';
        }
        else if ( strInput == "front"){
            if (dequeData.empty()){
                cout<<-1<<'\n';
            }
            else{
                cout<<dequeData.front()<<'\n';
            }
        }
        else if ( strInput == "back"){
            if (dequeData.empty()){
                cout<<-1<<'\n';
            }
            else{
                cout<<dequeData.back()<<'\n';
            }
        }
    }
    
    
    return 0;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6

'개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0845/C++] Queue 큐  (0) 2022.12.24
[백준/9012/C++] 괄호  (0) 2022.12.22
[백준/9093/C++] 단어뒤집기  (0) 2022.12.21
[백준/10773번/C++] 제로  (0) 2022.12.20
[백준/10828번/C++] 스택  (0) 2022.12.19

Level

 

 문제

괄호 문자열(Parenthesis String, PS)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 와 ‘)’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Valid PS, VPS)이라고 부른다. 한 쌍의 괄호 기호로 된 “( )” 문자열은 기본 VPS 이라고 부른다. 만일 x 가 VPS 라면 이것을 하나의 괄호에 넣은 새로운 문자열 “(x)”도 VPS 가 된다. 그리고 두 VPS x 와 y를 접합(concatenation)시킨 새로운 문자열 xy도 VPS 가 된다. 예를 들어 “(())()”와 “((()))” 는 VPS 이지만 “(()(”, “(())()))” , 그리고 “(()” 는 모두 VPS 가 아닌 문자열이다. 

여러분은 입력으로 주어진 괄호 문자열이 VPS 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서 그 결과를 YES 와 NO 로 나타내어야 한다. 

입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주어진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의 첫째 줄에는 괄호 문자열이 한 줄에 주어진다. 하나의 괄호 문자열의 길이는 2 이상 50 이하이다. 

출력

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 만일 입력 괄호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 문자열(VPS)이면 “YES”, 아니면 “NO”를 한 줄에 하나씩 차례대로 출력해야 한다. 

 

 풀이

프로그래머스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풀었어서 쉽게 풀수 있었다.

괄호의 연상태와 닫힌 상태를 비교하는 것을 스택을 이용하면된다.

 

 

스택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 가 들어오면 스택에 넣고

) 가 들어오면 스택이 비어 있는지 확인 후 

(가 있는 것을 확인 되면 ()하나가 완성되어있기에 스택을 비워 준다.

 

다음으로

) 가 빈상태에서 들어오면 잘 못된 것이기 때문에

상태 값을 하나두고  NO를 출력 하도록한다.

 

위와 같이 계속 진행 후 스택이 전부 비워졌다면 정상적인 괄호 값을 가진것이기 때문에 YES를 출력

전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지만 ( 만 남아 있는 경우도 가능하기 때문에 ( 만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해준다.

 

#include<iostream>
#include<stack>
#include<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iLoopCount = 0;
    bool bStackState = true;
   
    cin>>iLoopCount;
    for( int i = 0; i < iLoopCount; ++i ){
        stack<char> stackData;
        string strInputData;
        
        cin>>strInputData;
        
        for ( int j = 0 ; j < strInputData.size(); ++j ){
            if ( strInputData[j] == '('){
                stackData.push(strInputData[j]);
            }
            else if ( strInputData[j] == ')'){
                if ( stackData.empty() ){
                    bStackState = false;
                    break;
                }
                else{
                    stackData.pop();
                }
            }
        }
        
        if ( stackData.empty() && bStackState == true ){
             cout<<"YES"<<"\n";
        }
        else{
           cout<<"NO"<<"\n";
        }
        
        bStackState = true;
    }
    
    return 0;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개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0845/C++] Queue 큐  (0) 2022.12.24
[백준/10866/C++] Deque 덱  (0) 2022.12.23
[백준/9093/C++] 단어뒤집기  (0) 2022.12.21
[백준/10773번/C++] 제로  (0) 2022.12.20
[백준/10828번/C++] 스택  (0) 2022.12.19

Level

 

 문제

문장이 주어졌을 때, 단어를 모두 뒤집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단어의 순서는 바꿀 수 없다. 단어는 영어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장이 하나 주어진다. 단어의 길이는 최대 20, 문장의 길이는 최대 1000이다.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공백이 하나 있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문장의 단어를 모두 뒤집어 출력한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stack>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iLoopCount = 0;
    cin>>iLoopCount;
    cin.ignore();
    
	for (int i = 0; i < iLoopCount; i++) {
		string strInput;
		getline(cin, strInput);
		// 마지막 단어에 대한 처리.
		strInput += ' ';

		stack<char> stackData;

		int strSize = strInput.size();
		for (int j = 0; j < strSize; j++) {
			if (strInput[j] == ' ') {
				bool bLoopState = true;
				while (bLoopState) {
					cout << stackData.top();
					stackData.pop();

					if (stackData.empty()) {
						bLoopState = false;
					}
				}
				cout << ' ';
			}

			else {
				stackData.push(strInput[j]);
			}
		}
	}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9093

'개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0866/C++] Deque 덱  (0) 2022.12.23
[백준/9012/C++] 괄호  (0) 2022.12.22
[백준/10773번/C++] 제로  (0) 2022.12.20
[백준/10828번/C++] 스택  (0) 2022.12.19
[백준][JS] 7단계 - 문자열 - 10809 - 알파벳 찾기  (0) 2021.10.16

Level1

 

 문제

나코더 기장 재민이는 동아리 회식을 준비하기 위해서 장부를 관리하는 중이다.

재현이는 재민이를 도와서 돈을 관리하는 중인데, 애석하게도 항상 정신없는 재현이는 돈을 실수로 잘못 부르는 사고를 치기 일쑤였다.

재현이는 잘못된 수를 부를 때마다 0을 외쳐서, 가장 최근에 재민이가 쓴 수를 지우게 시킨다.

재민이는 이렇게 모든 수를 받아 적은 후 그 수의 합을 알고 싶어 한다. 재민이를 도와주자!

입력

첫 번째 줄에 정수 K가 주어진다. (1 ≤ K ≤ 100,000)

이후 K개의 줄에 정수가 1개씩 주어진다. 정수는 0에서 1,000,0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정수가 "0" 일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쓴 수를 지우고, 아닐 경우 해당 수를 쓴다.

정수가 "0"일 경우에 지울 수 있는 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풀이

 

#include <iostream>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iLoopCount = 0;
    int iInputData = 0;
    stack<int> stackData;
    cin >> iLoopCount;
    for ( int i = 0; i < iLoopCount; ++i ) {
        cin >> iInputData;
        if ( iInputData != 0 ) {
            stackData.push ( iInputData );
        } else if ( stackData.size() > 0 && iInputData == 0 ) {
            stackData.pop();
        }
    }
    
    int answer = 0;
    int stackSize = stackData.size();
    for ( int i = 0; i < stackSize; ++i ) {
        answer += stackData.top();
        stackData.pop();
    }
    cout << answer;
    return 0;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773

Level1

 

 문제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

 

 

#include<iostream>
#include<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iRoundCount = 0;
    int iInputCount = 0;
    stack<int> stackData;
    string strInput;
    
    cin>>iRoundCount;
    
    for ( int i = 0; i < iRoundCount; ++i ){
        cin>>strInput;
        
        if ( strInput == "push" ){
            cin>>iInputCount;
            stackData.push(iInputCount);
        }
        
        else if ( strInput == "pop" ){
            if ( stackData.size() <= 0 ){
                cout<<-1<<endl;
            }
            else{
                cout<<stackData.top()<<endl;
                stackData.pop();
            }
        }
        
        else if ( strInput == "size" ){
            cout<<stackData.size()<<endl;
        }
        
        else if ( strInput == "empty" ){
            if ( stackData.empty() == true ){
                cout<<1<<endl;
            }
            else {
                cout<<0<<endl;
            }
        }
        
        else if ( strInput == "top" ){
            if ( stackData.size() <= 0 ){
                cout<<-1<<endl;
            }
            else{
                cout<<stackData.top()<<endl;
            }
        }
    }
    
    return 0;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8

Level1

 

 문제

정수를 저장한 배열, arr 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단, 리턴하려는 배열이 빈 배열인 경우엔 배열에 -1을 채워 리턴하세요. 예를들어 arr이 [4,3,2,1]인 경우는 [4,3,2]를 리턴 하고, [10]면 [-1]을 리턴 합니다.제한 조건

  • arr은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 인덱스 i, j에 대해 i ≠ j이면 arr[i] ≠ arr[j] 입니다.

입출력 예

arr return
[4,3,2,1] [4,3,2]
[10] [-1]

 

 

 풀이

문제의 설명에 빠진 부분이 있어서 조금 헤맸다.

설명에서 값만 제거하고 리턴하라거나 그대로 리턴해야한다던가의 제한조건같은게 없어서

풀이할때 sort를 이용해서 가장 마지막 값만 제거해서 풀었다.

위에 주어진 문제만 통과하고 테스트케이스는 전부 틀려서 당황스러웠다.

 

처음 풀이에는 sort문제라는것은 인지 못하고 제일 작은 수가 여러개 인경우의 예외처리를 하고 풀었다.

그래도 여전히 전부 틀리다고 나왔다.

다음 풀이에는 소스코드 처럼 주어진 배열내에서 제일 작은수만 넣지 않고 풀어서 해결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bool compare(int a, int b);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 {
    vector<int> answer;
    if ( arr.size() == 1){
        answer.push_back(-1);
        return answer;
    }
        
    vector<int> dummy = arr;
    
    sort(arr.begin(), arr.end(), compare);
    
    int iMin = arr[arr.size()-1];
    for( int i = 0 ; i < dummy.size(); ++i ){
        
        if ( iMin != dummy[i]){
            answer.push_back(dummy[i]);
        }
    }
    
    
    return answer;
}


bool compare(int a, int b){
    
    return a>b;
    
}

 

다른사람의 풀이

min_element라는 함수로 접근해서 간단한 풀이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 {
    if (arr.size() == 1) {
        return { -1 };
    }
    arr.erase(std::min_element(arr.begin(), arr.end()));
    return ar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5

Level1

 

 문제

 

입출력 예

k score result
3 [10, 100, 20, 150, 1, 100, 200] [10, 10, 10, 20, 20, 100, 100]
4 [0, 300, 40, 300, 20, 70, 150, 50, 500, 1000] [0, 0, 0, 0, 20, 40, 70, 70, 150, 300]

 

 

 풀이

문제를 읽고 표를 제대로 볼 수 있다면 쉽게 풀리는 문제이다.

표에서 명예의전당 부분을 1일차 2일차 나누어져있는 부분을 세로로 보지 않고,

가로로 보아서 값이 왜 이렇게 되어있는가 잘못된 생각을 했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int k, vector<int> score) {
    vector<int> answer;
    
    vector<int> vecTemp;
    int index = 0;
    while (  answer.size() < score.size() ){
    
        if (answer.size() < k ){
            vecTemp.push_back(score[index]);
            ++index;
        }
        else {
            
            if ( vecTemp[0] < score[index] ){
                vecTemp[0] = score[index];
            }
            ++index;
        }
        
        sort(vecTemp.begin(),vecTemp.end());
        
        answer.push_back(vecTemp[0]);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847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