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for ( int i = 0 ; i < commands.size(); ++i ){
        
        
        vector<int> temp;
        int iTemp = commands[i][2];
        for ( int j = commands[i][0]-1; j < commands[i][1]; ++ j){
            temp.push_back(array[j]);
        }
        sort(temp.begin(), temp.end());
        answer.push_back(temp[iTemp-1]);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vector<int> temp;

    for(int i = 0; i < commands.size(); i++) {
        temp = array;
        sort(temp.begin() + commands[i][0] - 1, temp.begin() + commands[i][1]);
        answer.push_back(temp[commands[i][0] + commands[i][2]-2]);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출력 예
strings n return
["sun", "bed", "car"] 1 ["car", "bed", "sun"]
["abce", "abcd", "cdx"] 2 ["abcd", "abce", "cdx"]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sun", "bed", "car"의 1번째 인덱스 값은 각각 "u", "e", "a" 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strings를 정렬하면 ["car", "bed", "sun"] 입니다.

입출력 예 2
"abce"와 "abcd", "cdx"의 2번째 인덱스 값은 "c", "c", "x"입니다. 따라서 정렬 후에는 "cdx"가 가장 뒤에 위치합니다. "abce"와 "abcd"는 사전순으로 정렬하면 "abcd"가 우선하므로, 답은 ["abcd", "abce", "cdx"] 입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vector<string> strings, int n) {
    vector<string> answer = strings;
    
    sort(answer.begin(), answer.end(), [n](string a, string b){
        if ( a[n]==b[n]) return a < b;
        
          return a[n] < b[n];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5

Level1 - -

 

 문제

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 조건
  • 공백은 아무리 밀어도 공백입니다.
  • s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s의 길이는 8000이하입니다.
  • n은 1 이상, 25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s n result
"AB" 1 "BC"
"z" 1 "a"
"a B z" 4 "e F d"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int n) {
    string answer;
    
    for ( int i = 0; i < s.size(); ++i ){
        
        int iTem = s[i];
        char charTem = iTem + n;
        
        if (s[i] == ' '){
            answer.append(1, ' ');
            continue;
        }
    
        
        if ( (iTem <= 122 && iTem >= 97) &&  iTem+n > 122 ){
            // 소문자
            charTem = ((iTem) - 122) + 97 + n-1;
        }
        
        else if ( (iTem <= 90 && iTem >= 65) && iTem+n > 90 ){
            //대문자 
            charTem = ((iTem) - 90) + 65 + n-1;
        }
           
        answer.append(1, charTem);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int n) {
    string answer = "";
    for (auto c : s) {
        if (c == ' ') {
            answer += c;
        } else if (c < 'a') {
            answer += static_cast<char>(((c - 'A') + n) % 26 + 'A');
        } else {
            answer += static_cast<char>(((c - 'a') + n) % 26 + 'a');
        }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6

Level1 - -

 

 문제

문제 설명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 길이(전체 부서의 개수)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 1 이상 10,0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 budget result
[1,3,2,5,4] 9 3
[2,2,3,3] 10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원, 2원, 3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6원이 필요합니다.
  • 1원, 2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 1원, 3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 1원, 3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9원이 필요합니다.

3개 부서보다 더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으므로 최대 3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10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 4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풀이

사용언어 : 

#include <iostream>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int> d, int budget) {
    int answer = 0;
    
    sort(d.begin(), d.end());
    if ( budget < d[0]){
        return 0;
    }

    for ( int i = 0; i< d.size(); ++i ){
        if ( budget >= d[i]){
            budget -= d[i];
            ++answer;
        }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82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3진법 상에서 앞뒤로 뒤집은 후, 이를 다시 10진법으로 표현한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1 이상 1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sult
45 7
125 229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답을 도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n (10진법) n (3진법) 앞뒤 반전(3진법) 10진법으로 표현
45 1200 0021 7
  • 따라서 7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답을 도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n (10진법) n (3진법) 앞뒤 반전(3진법) 10진법으로 표현
125 11122 22111 229
  • 따라서 229를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math.h>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int n) {
    int answer = 0;
    int tempNum = n;
    vector<int> vecNum;
    
    if ( n == 1){
        return n;
    }
    
    bool loopState = true;
    while (loopState){
        
        vecNum.push_back(tempNum%3);
        tempNum = tempNum/3;
        if ( tempNum < 3){
            vecNum.push_back(tempNum);
            loopState = false;
        }
        
    }
    int count = 0;
    for ( int i = vecNum.size()-1; i >= 0; -- i  ){
        answer += vecNum[count]*(pow(3,i));
        ++count;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int n) {
    vector<int> a;
    while (n) {
        a.push_back(n % 3);
        n /= 3;
    }

    int ret = 0;
    for (int i = 0; i < a.size(); ++i) ret = ret * 3 + a[i];
    return ret;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935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try hello world" "TrY HeLlO WoRlD"
입출력 예 설명

"try hello world"는 세 단어 "try", "hello", "worl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홀수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면 "TrY", "HeLlO", "WoRlD"입니다. 따라서 "TrY HeLlO WoRlD" 를 리턴합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꿀때는 소문자가 아스키코드 값이 더 크므로 32를 더해주는 방법

비트연산으로 or 연산을 해서 str |= 32를 하는 방법

홀수 & 1을 하게 되면 1이 나오게되고

짝수 & 0을 하게 되면 0이 나오게 되는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는건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tolower / toupper를 이용한 방법도 가능하다.

 

문제에서 단어 기준으로 홀짝 구분을 해야한다는 말뜻을 이해 못해서 조금 해맸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int idx = 0;
    for ( int i = 0 ; i < s.size(); ++i ){
        if ((idx & 1)){
            s[i] = tolower(s[i]);
            
        }
        else {
            s[i] = toupper(s[i]);
        }
        
        if ( s[i] == ' '){
            idx = 0;
        }
        else {
            ++idx;
        }
    }
    answer = s;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0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배열 arr의 각 원소는 숫자 0부터 9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하나만 남기고 전부 제거하려고 합니다. 단, 제거된 후 남은 수들을 반환할 때는 배열 arr의 원소들의 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 arr = [1, 1, 3, 3, 0, 1, 1] 이면 [1, 3, 0, 1] 을 return 합니다.
  • arr = [4, 4, 4, 3, 3] 이면 [4, 3] 을 return 합니다.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rr의 크기 : 1,000,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rr의 원소의 크기 : 0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입출력 예
arr answer
[1,1,3,3,0,1,1] [1,3,0,1]
[4,4,4,3,3] [4,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 
{
    vector<int> answer;
    
    
    answer.push_back(arr[0]);
    
    for (int i = 1; i < arr.size(); ++ i ){
        
        if ( arr[i-1] != arr[i]){
            answer.push_back(arr[i]);
        }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unique라는 함수를 사용한 풀이

vector 배열에서 중복된 것을 찾고 erase로 지워버리는 방법.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 
{

    arr.erase(unique(arr.begin(), arr.end()),arr.end());

    vector<int> answer = arr;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06?language=cpp

Level1

 

 문제

문제 설명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사항
  •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money ≤ 1,000,000,000, money는 자연수
  • 놀이기구의 이용 횟수 count : 1 ≤ count ≤ 2,500, count는 자연수

 

입출력 예
price money count result
3 20 4 1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이용금액이 3인 놀이기구를 4번 타고 싶은 고객이 현재 가진 금액이 20이라면, 총 필요한 놀이기구의 이용 금액은 30 (= 3+6+9+12) 이 되어 10만큼 부족하므로 10을 return 합니다.

참고 사항

  • 미션 언어는 Java, JavaScript, Python3, C++ 만 해당 됩니다.
  • 같은 코드를 제출한 사람이 여럿이라면 코드를 가장 먼저 제출한 분께 상품을 드립니다.
  • 좋아요 수가 동일할 경우 코드를 가장 먼저 제출한 분께 상품을 드립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solution(int price, int money, int count)
{
    long long answer = 0;
    
    for ( int i = 1 ; i <= count; ++ i ){
        answer += (price * i);
    }

    answer -= money;
    if ( answer <= 0 ){
        answer = 0;
    }
    
    return answer;
}

 

다른 사람의 풀이

가우스 공식을 이용한 코드의 간결화

1부터 n까지의 합은 n * (n+1) / 2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long long solution(int price, int money, int count)
{
    ll answer = (ll)(count * (count+1) / 2) * price; 
    return answer > money ? answer - money : 0;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2612?language=cpp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