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 배열

 

 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100이 되어 71.4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2 이하이면 정답이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let sum = 0;
let num = input[0] * 1;
let scoreArr = input[1].split(" ");

let max = Math.max(...scoreArr);

for ( let i = 0; i < num; ++i ){
    sum += scoreArr[i] / max * 100;
}

console.log (sum / num);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546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let oriNum = parseInt(input); 
let num = oriNum;
let sum = 0;

let cnt = 0;
while (true){
    ++cnt;
    
    sum = Math.floor(num / 10) + num % 10;
    num = (num % 10) * 10 + sum % 10;
    
    if(oriNum == num)
        break;
}
console.log (cnt);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110

 

 문제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출력형식과 같게 N*1부터 N*9까지 출력한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let a = parseInt(input); 

for ( let i = 1 ; i <= 9; ++i ){
    
    console.log ( a + " * " + i +" = " + (a*i));
}

 C/C++ 예제 문제로 나올법한 간단한 문제들이 주로 나와있다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2739

if문 사용

 

 문제

시험 점수를 입력받아 90 ~ 100점은 A, 80 ~ 89점은 B, 70 ~ 79점은 C, 60 ~ 69점은 D, 나머지 점수는 F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 점수가 주어진다. 시험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시험 성적을 출력한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let a = parseInt(input); 
if ( a >= 90 ){
    console.log('A');
}
else if ( a >= 80 ){
    console.log('B');
}
else if ( a >= 70 ){
    console.log('C');
}
else if ( a >= 60 ){
    console.log('D');
}
else{
       console.log('F');
}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9498

입출력과 사칙연산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let a = parseInt(input[0]);
let b = parseInt(input[1]);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 이걸 베이스로 사칙연산 +-*/

 

백준을 처음이용해 보는데 프로그래머스로만 문제를 풀어왔던 나에게는 아무것도 제공안되고

문제에 맞는 기본환경에 맞춰서 내가 작성해서 진행해야하니 불편하다.

 

입출력 관련문제에 콘솔로그를 이용하니 시간이 많이 걸렸다.

앞으로 시간제한 문제가 많을텐데 콘솔로그의 대안법을 찾자

 

 

 

출처 : https://www.acmicpc.net/step/1

Level1 - 위클리 챌린지 - 직업군 추천하기

 

 문제

문제 설명

개발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언어 선호도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직업군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아래 표는 5개 직업군 별로 많이 사용하는 5개 언어에 직업군 언어 점수를 부여한 표입니다.

 

점수 SI CONTENTS HARDWARE PORTAL GAME
5 JAVA JAVASCRIPT C JAVA C++
4 JAVASCRIPT JAVA C++ JAVASCRIPT C#
3 SQL PYTHON PYTHON PYTHON JAVASCRIPT
2 PYTHON SQL JAVA KOTLIN C
1 C# C++ JAVASCRIPT PHP JAVA

예를 들면, SQL의 SI 직업군 언어 점수는 3점이지만 CONTENTS 직업군 언어 점수는 2점입니다. SQL의 HARDWARE, PORTAL, GAME 직업군 언어 점수는 0점입니다.

직업군 언어 점수를 정리한 문자열 배열 table, 개발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담은 문자열 배열 languages, 언어 선호도를 담은 정수 배열 prefere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개발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언어 선호도 x 직업군 언어 점수의 총합이 가장 높은 직업군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총합이 같은 직업군이 여러 개일 경우, 이름이 사전 순으로 가장 빠른 직업군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사항

  • table의 길이 = 5
    • table의 원소는 "직업군 5점언어 4점언어 3점언어 2점언어 1점언어"형식의 문자열입니다. 직업군, 5점언어, 4언어, 3점언어, 2점언어, 1점언어는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table은 모든 테스트케이스에서 동일합니다.
  • 1 ≤ languages의 길이 ≤ 9
    • languages의 원소는 "JAVA", "JAVASCRIPT", "C", "C++" ,"C#" , "SQL", "PYTHON", "KOTLIN", "PHP" 중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languages의 원소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 preference의 길이 = languages의 길이
    • 1 ≤ preference의 원소 ≤ 10
  • preference의 i번째 원소는 languages의 i번째 원소의 언어 선호도입니다.
  • return 할 문자열은 "SI", "CONTENTS", "HARDWARE", "PORTAL", "GAME" 중 하나입니다.

입출력 예

 

table languages preference result
["SI JAVA JAVASCRIPT SQL PYTHON C#", "CONTENTS JAVASCRIPT JAVA PYTHON SQL C++", "HARDWARE C C++ PYTHON JAVA JAVASCRIPT", "PORTAL JAVA JAVASCRIPT PYTHON KOTLIN PHP", "GAME C++ C# JAVASCRIPT C JAVA"] ["PYTHON", "C++", "SQL"] [7, 5, 5] "HARDWARE"
["SI JAVA JAVASCRIPT SQL PYTHON C#", "CONTENTS JAVASCRIPT JAVA PYTHON SQL C++", "HARDWARE C C++ PYTHON JAVA JAVASCRIPT", "PORTAL JAVA JAVASCRIPT PYTHON KOTLIN PHP", "GAME C++ C# JAVASCRIPT C JAVA"] ["JAVA", "JAVASCRIPT"] [7, 5] "PORTAL"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각 직업군 별로 점수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사진은 개발자 언어 선호도 나타낸 표입니다.

아래 사진은 개발자가 선호하는 언어의 직업군 언어 점수를 나타낸 표입니다.

따라서 점수 총합이 41로 가장 높은 "HARDWARE"를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각 직업군 별로 점수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사진은 개발자 언어 선호도 나타낸 표입니다.

아래 사진은 개발자가 선호하는 언어의 직업군 언어 점수를 나타낸 표입니다.


점수 총합이 55로 가장 높은 직업군은 "SI" 와 "PORTAL"입니다.
따라서 사전 순으로 먼저 오는 "PORTAL"을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function solution(table, languages, preference) {
    var answer = [];
    table.sort();
    for(var i = 0; i < table.length; i++){
        var rows = table[i].split(' ').reverse();
        var ans = 0;
        for(var j = 0; j < languages.length; j++){
            var point = (rows.indexOf(languages[j]) + 1) * preference[j];
            ans += point;
        }
        answer = [...answer, ans];
    }
    return table[answer.indexOf(Math.max(...answer))].split(' ')[0];
}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4325

Level1 - Summer/Winter Coding - 소수만들기

 

 문제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s에 들어있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상 50개 이하입니다.
  • nums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중복된 숫자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ums result
[1,2,3,4] 1
[1,2,7,6,4]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2,4]를 이용해서 7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1,2,4]를 이용해서 7을 만들 수 있습니다.
[1,4,6]을 이용해서 11을 만들 수 있습니다.
[2,4,7]을 이용해서 13을 만들 수 있습니다.
[4,6,7]을 이용해서 17을 만들 수 있습니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function solution(nums) {
    let answer = 0;
    
    for ( let i = 0 ; i < nums.length; ++i ){
     
        for ( let j = i+1 ; j < nums.length; ++j ){
       
            for ( let k = j+1 ; k < nums.length; ++k ){
       
                if (isPrime(nums[i] + nums[j] + nums[k]) === true ){
                    ++answer;
                }
            }
        }
    }

    return answer;
}

function isPrime(n){
    for ( let i = 2; i < n; ++i){
        if ( n % i === 0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77

 

Level1 - 완전탐색 - 모의고사

 

 문제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시험은 최대 10,000 문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문제의 정답은 1, 2, 3, 4, 5중 하나입니다.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여럿일 경우, return하는 값을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입출력 예

 

answers return
[1,2,3,4,5] [1]
[1,3,2,4,2] [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수포자 1은 모든 문제를 맞혔습니다.
  • 수포자 2는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 수포자 3은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따라서 가장 문제를 많이 맞힌 사람은 수포자 1입니다.

입출력 예 #2

  • 모든 사람이 2문제씩을 맞췄습니다.

 

 풀이

사용언어 :  javascript

function solution(answers) {
    //answers = [1,1,1,1];
    var answer = [];
    let player = [[1, 2, 3, 4, 5],
                  [2, 1, 2, 3, 2, 4, 2, 5],
                  [3, 3, 1, 1, 2, 2, 4, 4, 5, 5] ];
    
    let cnt = [0,0,0];

    
    for (let i =0; i<answers.length; i++) {

        if(answers[i] === player[0][i%5]) {
            cnt[0]++;
        }

        if(answers[i] === player[1][i%8]) {
            cnt[1]++;
        }

        if(answers[i] === player[2][i%10]) {
            cnt[2]++;
        }

    }

    let maxCnt = Math.max.apply(null, cnt);

    for (let j = 0; j < 3; j++) {

        if (cnt[j] === maxCnt) {
            answer.push(j+1); 
        }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4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