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1

 

 문제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는데, 대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음식을 주문하여 몇 개의 음식은 대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1번 음식을 3개, 2번 음식을 4개, 3번 음식을 6개 준비했으며, 물을 편의상 0번 음식이라고 칭한다면, 두 선수는 1번 음식 1개, 2번 음식 2개, 3번 음식 3개씩을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223330333221"이 됩니다. 따라서 1번 음식 1개는 대회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수웅이가 준비한 음식의 양을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수 배열 food가 주어졌을 때, 대회를 위한 음식의 배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food의 길이 ≤ 9
  • 1 ≤ food의 각 원소 ≤ 1,000
  • food에는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음식의 양이 담겨 있습니다.
  • food[i]는 i번 음식의 수입니다.
  • food[0]은 수웅이가 준비한 물의 양이며, 항상 1입니다.
  • 정답의 길이가 3 이상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food result
[1, 3, 4, 6] "1223330333221"
[1, 7, 1, 2] "11130311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1

  • 두 선수는 1번 음식 3개, 3번 음식 1개를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11303111"입니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vector<int> food) {
    string answer = "";
    string tempStr = "";
    int temp = 0;
    
    temp = food[1] / 2;
    for( int i = 1 ; i < food.size(); ++i ){
        int foodCnt = food[i]/2;
        
        for ( int j = 0; j < foodCnt; ++j){
            
            tempStr.append(to_string(i));

        }
    }
    answer = tempStr;
    answer.append(to_string(0));
    for ( int i = tempStr.size()-1; i >= 0; --i){
        answer += tempStr[i];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reverse함수를 이용한 풀이여서 눈에 띄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vector<int> food) {
    string answer = "";

    for(int i=1;i<food.size();i++){
        int iter=food[i]/2;
        for(int j=1;j<=iter;j++){
            answer.append(to_string(i));
        }
    }
    string tmp=answer;
    reverse(tmp.begin(),tmp.end());
    answer.append("0");
    answer.append(tmp);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4240?language=cpp

Level1

 

 문제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의 길이는 2 이상 100 이하입니다.
    • numbers의 모든 수는 0 이상 1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umbers result
[2,1,3,4,1] [2,3,4,5,6,7]
[5,0,2,7] [2,5,7,9,1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2 = 1 + 1 입니다. (1이 numbers에 두 개 있습니다.)
  • 3 = 2 + 1 입니다.
  • 4 = 1 + 3 입니다.
  • 5 = 1 + 4 = 2 + 3 입니다.
  • 6 = 2 + 4 입니다.
  • 7 = 3 + 4 입니다.
  • 따라서 [2,3,4,5,6,7] 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2 = 0 + 2 입니다.
  • 5 = 5 + 0 입니다.
  • 7 = 0 + 7 = 5 + 2 입니다.
  • 9 = 2 + 7 입니다.
  • 12 = 5 + 7 입니다.
  • 따라서 [2,5,7,9,12] 를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for( int i = 0 ; i < numbers.size(); ++i ){
        for( int j = i+1 ; j < numbers.size(); ++j ){
            answer.push_back(numbers[i] + numbers[j]);
        }
    }
    sort(answer.begin(), answer.end());
    answer.erase(unique(answer.begin(), answer.end()), answer.end());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set을 이용해서 중복허영 금지하기.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numbers) {
    vector<int> answer;
    set<int> st;
    for(int i = 0;i<numbers.size();++i){
        for(int j = i+1 ; j< numbers.size();++j){
            st.insert(numbers[i] + numbers[j]);
        }
    }
    answer.assign(st.begin(), st.end());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8644

Level1

 

 문제

한국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각자 정수 번호를 갖고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 3명의 정수 번호를 더했을 때 0이 되면 3명의 학생은 삼총사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5명의 학생이 있고, 각각의 정수 번호가 순서대로 -2, 3, 0, 2, -5일 때, 첫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하면 0이므로 세 학생은 삼총사입니다. 또한,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학생의 정수 번호를 더해도 0이므로 세 학생도 삼총사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한국중학교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삼총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한국중학교 학생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학생들 중 삼총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3 ≤ number의 길이 ≤ 13
  • -1,000 ≤ number의 각 원소 ≤ 1,000
  • 서로 다른 학생의 정수 번호가 같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number result
[-2, 3, 0, 2, -5] 2
[-3, -2, -1, 0, 1, 2, 3] 5
[-1, 1, -1, 1] 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학생들의 정수 번호 쌍 (-3, 0, 3), (-2, 0, 2), (-1, 0, 1), (-2, -1, 3), (-3, 1, 2) 이 삼총사가 될 수 있으므로, 5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삼총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testFunc(vector<int> number, int a, int b, int c, int size, int answer );

int solution(vector<int> number) {
    int answer = 0;
    if ( number.size() < 3 || number.size() > 13 )
        return answer;
    
    
    answer = testFunc(number, 0, 1, 2, number.size(), answer);
    
    return answer;
}


int testFunc(vector<int> number, int a, int b, int c, int size, int answer ){
    if ( number[a]+ number[b] + number[c] == 0){
   
        answer+=1;
    }

    
    if ( c < size-1 ){

        return testFunc(number, a, b, ++c, size, answer);
    }
    else if ( b < size-1 && b+1 < size-1 )
    {
        c = b+2;
        return testFunc(number, a, ++b, c, size, answer);
    }
    
    else if ( a < size-3 ){
        ++a;
        b = a+1;
        c = a+2;
        return testFunc(number, a, b, c, size, answer);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705

 

 

Level1

 

 문제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3.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4.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 '#',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입출력 예제

매개변수
n 5
arr1 [9, 20, 28, 18, 11]
arr2 [30, 1, 21, 17, 28]
출력 ["#####","# # #", "### #", "# ##", "#####"]

 

매개변수
n 6
arr1 [46, 33, 33 ,22, 31, 50]
arr2 [27 ,56, 19, 14, 14, 10]
출력 ["######", "### #", "## ##", " #### ", " #####", "### # "]

 

 

 풀이

2진수로 돌려 놓는 과정

N자리수로 맞출때 0의 갯수가 안맞는 부분만 확인하면 쉽게 넘어 갈 수 있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int n, vector<int> arr1, vector<int> arr2) {
    vector<string> answer;

    
    for ( int i = 0; i < arr1.size(); ++i ){
          bool loopState = true;
        int tempA = arr1[i];
        vector<int> vecA;
        while ( loopState )
        {
            vecA.push_back(tempA % 2);
            tempA = tempA / 2;
            
            if ( tempA <= 1 ){
                vecA.push_back(tempA % 2);
                loopState = false;
            }
        }
       
        while ( vecA.size() < n){
            vecA.push_back(0);
        }
        

        int tempB = arr2[i];
        vector<int> vecB;
        loopState = true;
        while ( loopState )
        {
            //int temp = ;
            vecB.push_back(tempB % 2);
            tempB = tempB / 2;
            
            
            if ( tempB <= 1 ){
                vecB.push_back(tempB % 2);
                loopState = false;
            }
        }
        
        while ( vecB.size() < n){
            vecB.push_back(0);
        }
        

        
        string str;
        for ( int j = n-1 ; j >= 0 ; --j ){
            
            if ( vecA[j] == 0 && vecB[j] == 0 ){
                str.append(" ");
            }
            else {
                str.append("#");
            }
            
        }
        answer.push_back(str);
        //vecTempA = arr1[i] % 2;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int n, vector<int> arr1, vector<int> arr2) {
    vector<string> answer;
    for(int i=0; i <n; i++){
        arr1[i] = arr1[i]|arr2[i];
        string ans = "";
        for(int j = 0; j<n; j++){
            if(arr1[i] % 2 == 0) ans = " " + ans;
            else ans = "#" + ans;
            arr1[i] = arr1[i] >> 1;
        }
        answer.push_back(ans);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1

Level1

 

 문제

문제 설명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명함 번호 가로 길이 세로 길이
1 60 50
2 30 70
3 60 30
4 80 40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sizes의 원소는 [w, h] 형식입니다.
    • 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w와 h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sizes result
[[60, 50], [30, 70], [60, 30], [80, 40]] 4000
[[10, 7], [12, 3], [8, 15], [14, 7], [5, 15]] 120
[[14, 4], [19, 6], [6, 16], [18, 7], [7, 11]] 13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명함들을 적절히 회전시켜 겹쳤을 때, 3번째 명함(가로: 8, 세로: 15)이 다른 모든 명함보다 크기가 큽니다. 따라서 지갑의 크기는 3번째 명함의 크기와 같으며, 120(=8 x 15)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명함들을 적절히 회전시켜 겹쳤을 때, 모든 명함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지갑의 크기는 133(=19 x 7)입니다.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vector<int>> sizes) {
    int answer = 0;
    vector<vector<int>> numbers;
    //vector<int> totals;
    //numbers.push_back(totals);
    
    for ( int i = 0 ; i < sizes.size(); ++i ){ 
        vector<int> totals;
        totals.push_back(i);
        totals.push_back(sizes[i][0] + sizes[i][1]);
        numbers.push_back(totals);
    }
    sort(numbers.begin(), numbers.end(), [](vector<int> a, vector<int> b){
        return a[1] < b[1];
        //return false;
    });
    
    // 정렬을 통해 00번째에 가장 작은 값을 가진 배열의 index를 가짐
    cout<< numbers[0][0];
    
    int minIndex = numbers[0][0];
    
    int answerX = sizes[minIndex][0];
    int answerY = sizes[minIndex][1];
    int answerZ = 0;
    
    if ( answerX < answerY ){
        // X에 큰수가 들어가도록 스왑
        answerZ = answerX;
        answerX = answerY;
        answerY = answerZ;
    }
    
    for ( int i = 0 ; i < sizes.size(); ++i ){
        int tempA, tempB,tempC;
        
        if ( (sizes[i][0] <= answerX && sizes[i][1] <= answerY  )
            || (sizes[i][0] <= answerY && sizes[i][1] <= answerX  )){
                continue;
            }
            
            // 규격안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if ( answerX < answerY ){
                // X에 큰수가 들어가도록 스왑
                answerZ = answerX;
                answerX = answerY;
                answerY = answerZ;
             }
            
            tempA = sizes[i][0];
            tempB = sizes[i][1];
            
            if ( tempA < tempB){
                tempC = tempA;
                tempA = tempB;
                tempB = tempC;
            }
            
            if ( tempA > answerX ){
                answerX = tempA;
            }
            
            if ( tempB > answerY ){
                answerY = tempB;
            }
            
        }
    
    answer = answerX * answerY;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다른사람의 풀이가 이거 하나를 변수만 바꿔서 나와있는게 좀 아쉬웠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vector<int>> sizes)
{
    int answer=0;

    int w=0, h=0;
    for(int i=0; i<sizes.size(); i++)
    {
        w=max(w,min(sizes[i][0],sizes[i][1]));
        h=max(h,max(sizes[i][0],sizes[i][1]));
    }
    answer=w*h;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6491

Level1 - -

 

 문제

네오와 프로도가 숫자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네오가 프로도에게 숫자를 건넬 때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꾼 카드를 건네주면 프로도는 원래 숫자를 찾는 게임입니다.

다음은 숫자의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꾸는 예시입니다.

  • 1478 → "one4seveneight"
  • 234567 → "23four5six7"
  • 10203 → "1zerotwozero3"

이렇게 숫자의 일부 자릿수가 영단어로 바뀌어졌거나, 혹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의미하는 원래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참고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영단어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숫자영단어

0 zero
1 one
2 two
3 three
4 four
5 five
6 six
7 seven
8 eight
9 nine

제한사항

  • 1 ≤ s의 길이 ≤ 50
  • s가 "zero" 또는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return 값이 1 이상 2,000,000,000 이하의 정수가 되는 올바른 입력만 s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one4seveneight" 1478
"23four5six7" 234567
"2three45sixseven" 234567
"123" 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 "three"는 3, "six"는 6, "seven"은 7에 대응되기 때문에 정답은 입출력 예 #2와 같은 234567이 됩니다.
  • 입출력 예 #2와 #3과 같이 같은 정답을 가리키는 문자열이 여러 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4

  • s에는 영단어로 바뀐 부분이 없습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replace함수를 이용해서 진행했따.

string find함수를 이용해서 문자열에서 해당 위치를 먼저 찾는다.

string length로 문자열의 길이를 인자에 넣는다.

마지막 인자로 바꿀 문자열을 넣는다.

 

마지막 인자를 숫자를 계속사용해서 에러가 났었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0;  
    string strNums[] = {"zero","one","two","three","four","five","six","seven","eight","nine"};
    for (int i = 0; i <= 9; ++i ){
        while ( s.find(strNums[i]) <= s.length()){
               
            s.replace(s.find(strNums[i]), strNums[i].length(), to_string(i));
        }
        
    }
    answer = stoi(s);
    
    return answer;

 

다른사람의 풀이

regex를 이용한 풀이법.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regex>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numbers = {"zero",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ten"};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0;
    regex r;
    for(int i = 0; i < numbers.size(); i++) {
        r = numbers[i];
        s = regex_replace(s, r, to_string(i));
    }
    answer = stoi(s);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1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for ( int i = 0 ; i < commands.size(); ++i ){
        
        
        vector<int> temp;
        int iTemp = commands[i][2];
        for ( int j = commands[i][0]-1; j < commands[i][1]; ++ j){
            temp.push_back(array[j]);
        }
        sort(temp.begin(), temp.end());
        answer.push_back(temp[iTemp-1]);
         
    }
    
    
    return answer;
}

 

 

 

다른사람의 풀이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array, vector<vector<int>> commands) {
    vector<int> answer;
    vector<int> temp;

    for(int i = 0; i < commands.size(); i++) {
        temp = array;
        sort(temp.begin() + commands[i][0] - 1, temp.begin() + commands[i][1]);
        answer.push_back(temp[commands[i][0] + commands[i][2]-2]);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Level1 - 

 

 문제

문제 설명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 string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각 문자열의 인덱스 n번째 글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s가 ["sun", "bed", "car"]이고 n이 1이면 각 단어의 인덱스 1의 문자 "u", "e", "a"로 strings를 정렬합니다.

제한 조건
  • strings는 길이 1 이상, 50이하인 배열입니다.
  • strings의 원소는 소문자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strings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100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모든 strings의 원소의 길이는 n보다 큽니다.
  • 인덱스 1의 문자가 같은 문자열이 여럿 일 경우, 사전순으로 앞선 문자열이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출력 예
strings n return
["sun", "bed", "car"] 1 ["car", "bed", "sun"]
["abce", "abcd", "cdx"] 2 ["abcd", "abce", "cdx"]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sun", "bed", "car"의 1번째 인덱스 값은 각각 "u", "e", "a" 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strings를 정렬하면 ["car", "bed", "sun"] 입니다.

입출력 예 2
"abce"와 "abcd", "cdx"의 2번째 인덱스 값은 "c", "c", "x"입니다. 따라서 정렬 후에는 "cdx"가 가장 뒤에 위치합니다. "abce"와 "abcd"는 사전순으로 정렬하면 "abcd"가 우선하므로, 답은 ["abcd", "abce", "cdx"] 입니다.

 

 풀이

사용언어 : C++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vector<string> solution(vector<string> strings, int n) {
    vector<string> answer = strings;
    
    sort(answer.begin(), answer.end(), [n](string a, string b){
        if ( a[n]==b[n]) return a < b;
        
          return a[n] < b[n];
    });
    
    
    return answer;
}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5

+ Recent posts